연금저축 수급형태, 종신연금 vs 확정연금 어떤 게 나에게 유리할까? 실수령액 비교 총정리

연금저축 수급형태, 종신연금 vs 확정연금 어떤 게 나에게 유리할까? 실수령액 비교 총정리

서론

“65세부터 내게 안정적으로 수익이 나올까?” 노후 준비에 있어 가장 큰 고민 중 하나입니다.

특히 그동안 차곡차곡 모아온 연금저축을 수급하는 때가 돌아오고 있는데요.

연금저축 수급형태, 확정연금(20년 고정)과 종신연금(보증기간 포함) 중 어떤 형태가 더 효과적인지, 실제 수령액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자세히 분석했습니다.

(ex: 연금저축 납부액 3,600만원)

본론

확정연금 vs 종신연금 구조

확정연금 개념

정해진 기간(예: 20년) 동안 일정 금액을 받는 방식

종신연금 개념

본인이 살아있는 동안 계속 수령, 보증기간(예: 20년) 설정도 가능

사망 시 수령 차이

종신 보증기간 내 사망 시 수급자 지정, 기간 전 사망 시 보증기간까지 수령 가능

실수령 금액 비교

사례: 확정20년 = 총 5,400만 원

매월 일정하게 22만 5천 원 가량 수령

사례: 종신20년보증 = 총 3,800만 원

보증기간 동안 매월 수령 후 사망 시 보증기간 내 수령 가능

비교 분석

확정형은 기한 내 안정적인 금액 수령, 종신형은 생존을 전제로 재정 부담 고려 필요

중도 사망 시 연금 손익

확정연금 사망 시

지정한 기간(20년) 내 사망하면 수급자 지정이 가능하거나 유족에게 이월 가능

종신연금 보증방식

보증기간 내 사망 시 정해진 기간까지 연속 수령 가능, 그 이후에는 종료

국민연금 및 기초연금 연계

국민연금 예상 65세 수령액 38만 원

배우자 국민연금 100만 원 + 내 기초연금

기초연금은 배우자 연금과 상관없이 최대 수령 가능

기초연금 내 예상 수령액

배우자 연금 수령과 무관하게 법정 기준에 따라 내 기초연금 약 26만 원 예상

연금저축으로 구성하기

연금저축 vs 국민연금 임의가입

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이 낮은 경우, 연금저축 활용해 추가 수익 기반 마련

임의가입 월 9만원, 보험사 연금저축 월 9만원 비교

세액공제, 수령 유연성, 운용 수익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

최적 포트폴리오 구성

국민연금 + 연금저축 + 목표 수익형 연금 등 분산 투자

글을 마치며

확정연금과 종신연금은 나이, 건강 상태, 재정 상황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는 구조입니다.

국민연금과 기초연금, 연금저축까지 종합적으로 설계해 두었다면 실제로 65세 이후 매월 약 100만 원대 수입 구조를 갖출 수도 있습니다.

중요한 것은 미리 준비하여 안정적인 자립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.

#노후준비 #확정연금 #종신연금 #기초연금 #국민연금 #연금저축 #연금비교 #노후소득 #재무설계 #연금수령전략